[제철시기] 11월 ~ 12월 [구입요령] 껍질이 단단하고 울퉁불퉁한 것, 상처가 없는 것이 좋다. 또한 향과 색이 짙은 것이 좋다. [유사재료] 레몬 (유자는 레몬보다 비타민 C가 3배 풍부하며 레몬보다 크기가 크고 둥글며 귤과 비슷하게 울퉁불퉁 생겼다.) [보관온도] 0~5℃ [보관일] 7일 [보관법] 껍질이 있는 채로 신문지에 싸서 냉장 보관한다. 비타민 C가 풍부한 유자는 철이나 구리가 함께 있으면 산화가 촉진되기 때문에 유자를 보관 시에는 금속 용기보다는 유리 용기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. [손질법] 유자에 많이 함유된 비타민 C는 빛이나 열에 쉽게 파괴되기 때문에 열을 가하지 않고 먹는 것이 좋은데,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 이용한다. [기타정보] 대표적인 조리용 감귤인 유자는 중국 양자강 상류가 원산지이며, 우리나라에는 오래전부터 전래되어 있었다. 한국, 중국, 일본에 분포한다.
김장의 계절 겨울! 필수 재료, 배추
[제철시기] 11월 ~ 12월 [구입요령] 배추 잎을 씹어 보면 고소한 맛이 나고 결구의 상태가 둥근 것을 고른다. [유사재료] 호배추 (중국종의 배추로 재래종에 대하여 개량한 결구배추를 말한다.) [보관온도] 10~15℃ [보관일] 15일 [보관법] 통째로 신문지에 여러 겹 싸서 서늘한 곳에 밑둥을 아래쪽으로 가도록 하여 보관한다. [손질법] 배추 꼭지를 칼로 잘라내고 4등분 하여 흐르는 물에 흔들어 가며 씻는다. [기타정보] 일교차가 있는 고랭지 지역에서 잘 자란다.
쫀득쫀득! 고소한 맛이 일품인, 과메기
[제철시기] 11월 ~ 1월 [구입요령] 통통하고 살이 단단한 것을 고른다. [유사재료] 꽁치 (예전에는 청어를 이용하여 과메기를 만들었으나 수획량이 줄면서 그 자리를 꽁치가 대신하고 있다. 청어로 만든 과메기는 꽁치과메기에 비해 기름기가 많아 윤기가 많으며 살이 더 많다.) [보관온도] -20℃~0℃ [보관일] 3일 [보관법] 신문지에 과메기을 돌돌 말아서 냉동실에 보관한다. [손질법] 머리 부분에서 손톱으로 살짝 껍질을 잡은 상태에서 당겨 벗긴다. 통마리일 경우에는 먼저 배 쪽의 내장 부분에서 머리, 등지느러미 순으로 가위로 잘라내면 쉽게 뼈를 갈려낼 수 있다. [기타정보] 포항에서 많이 생산되며 바닷바람이 어느 정도 있는 곳에서 많이 생산된다.